2010년 11월 29일 월요일

양직공도(梁職貢圖)속의 백제국사(百濟國使) 제기(題記)

『양직공도 梁職貢圖』해제


분류 : 잡사류
편저자 : 양 원제 梁 元帝
시기 : 526~539년 사이


『양직공도』는 중국 남경 南京 박물관에 소장된 한 장의 직공도 職貢圖(또는 사신도 使臣圖)를 가리키는 것으로, 중국에 입조入朝한 백제국 百濟國을 비롯한 12명의 각 국 사신들의 모습을 그리고 각 사신의 형상 뒤에 그 나라의 상황과 역대 중국과의 교류에 대한 간단한 제기 題記가 있는 형태이다.


『양직공도』는 각 국 사신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당시 중국 주변 제국 사람들의 용모와 복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회화 사료이며, 또한 『양서 梁書』 제이전 諸夷傳에 나오지 않는 내용도 제기에 기록됨으로써 당시 중국 주변 각국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문자 사료이기도 한데, 우리나라 역사와 관련해서는 사료가 적은 백제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사료라고 할 수 있다.


백제국 제기 百濟國題記는 193자에 불과한 내용이지만, 백제의 역사, 중국과의 교통, 고구려와의 관계, 정치 제도, 주변 지역에 대한 서술, 언어, 풍속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양직공도에 백제 사신의 모습은 발을 약간 왼편을 향하여 나란히 하고 있다. 단아한 용모에 관(冠)을 쓰는 좌임(左扉)의 대수포(大袖袍)를 무릎을 약간 덮을 정도로 착용하고 그 아래에 바지를 입었으며, 검은 신을 신고 양손은 모은 채 가리고 있다. 백제의 복식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둘도 없이 소중한 자료이며, 특히 삼국시대 백제 사신의 모습과 이에 대한 기술은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百濟舊來夷馬韓之屬晉末來駒驪略有遼東樂浪亦有遼西晉平縣自晋已來常修蕃貢, 義熙中, 其王餘腆, 宋元嘉中其王餘毗, 齊永明中其王餘太, 皆受中國官爵,

梁初以太 除征東將軍, 尋爲高句驪所破, 普通二年, 其王餘隆 遣使奉表云, 累破高麗,

號所治城曰固麻, 謂邑檐魯 於中國郡縣 有二十二檐魯, 分子弟宗族爲之. 旁小國有 叛波, 卓, 多羅, 前羅, 斯羅, 止迷, 麻連, 上己文, 下枕羅等附之.

言語衣服略同高麗, 行不張拱 拜不申足, 以帽爲冠, 襦曰複袗, 袴曰褌. 其言參諸夏, 亦秦韓之遺俗.



백제는 옛 래이로 마한의 무리다. 진나라 말기에 고구려가 일찌기 요동과 낙랑을 경략하고, (백제) 역시 요서와 진평현에 있었다. 진나라 이래로 백제는 번공(蕃貢)으로 항상 수교를 하고 통하였다. 의희 연간(405-418)에 부여전(전지왕), 송 원가(424-453)에는 부여비(비류왕), 제 영명(483-493)에 부여태(동성왕) 모두 중국의 관작을 받았다.

양나라 초에 부여태(동성왕)가 정동장군을 제수 받았다. 얼마 뒤 고구려를 격파했다. 보통 2년(521년)에 부여융(무녕왕)이 사신을 파견하여 표문을 올려 여러 번 고구려를 무찔렀다고 했다.

백제는 도성을 고마라 하고 읍을 담로라 하는데 이는 중국의 군현과 같은 말이다. 그 나라에는 22담로가 있는데, 모두 왕의 자제와 종족에게 나누어 다스리게 했다. 주변의 소국으로는 반파, 탁, 다라, 전라, 사라(신라), 지미, 마연, 상기문, 하침라 등이 부속되어 있다.

언어와 의복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다. 모자를 관이라 부르고, 저고리를 복삼, 바지를 곤이라 한다. 언어에는 하나라의 말이 뒤섞여 있으니, 이것 또한 진한의 습속이 남은 때문이라고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